
매번 파이콘을 다니면서 내가 업무에서 사용하는 자바, 스프링 컨퍼런스는 없나 하고 기다렸는데, 마침 한국스프링사용자모임에서 스프링캠프 2023을 연다고 해서 다녀왔다. 오픈한지 43초만인가에 티켓이 동났다고 해서 엄청 인기있는 컨퍼런스구나 싶었다. 이하의 내용에는 세션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만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 않고, 정확하지 않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추후 유튜브로 영상이 올라온다고 하니 자세한 내용은 해당 영상을 참고해주세요. 11시부터 12시까지가 접수였는데, 11시 40분쯤 도착했는데 다들 인프런, 현대 부스 등에 가있어서 그런지 자리가 꽤 남아 있었고, 나름 좋은 자리에 앉게 되었다. 파이콘은 동시에 여러 세션이 진행되서 듣고 싶은 세션이 겹치면 그 중 하나를 택일해야 하..
기획자가 따로 없는 우리팀은 산출물을 개발자 본인이 직접 작성해서 대리님들이 그 자료를 취합하여 산출물을 작성해왔다. 근데 이걸 몇 번 해오다보니 비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취합을 한 사람이 맡아서 하게 되면 그사람은 그만큼 다른 업무를 해결할 시간을 뺏기게 된다. 그리고 한사람이 취합하다보니 놓치는 부분이 있을지도 몰라서 각 부분을 담당한 사람들이 다시 한 번 체크할 겸 확인을 해야하고, 수정할 부분이 있으면 수정을 요청해야 한다. 문서를 동시에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찾아보다가 MS Office 제품의 공동 작업 기능을 알아보게 되었다. 마침 회사에서 Office365를 결제해줘서 직접 사용해보면서 결정할 수 있어서 좋았다. 내가 혼자 테스트로 사용해본 바로는 공동작업을 할 때 변경내용이 ..
현재는 VCS로 SVN을 사용하고 있는데, 다음 프로젝트에서는 git을 사용할 수도 있다고 해서 평소 사뒀던 git 관련 책을 읽었다. 개인적으로는 git을 자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해하기는 그렇게 어렵지 않았고, 깃의 내부 구조가 어떻게 되고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게 되어 좋았다. 내가 참고한 책은 토미의 Git with 소스트리로, 이곳을 통해 PDF파일로 구매했다. 책은 git의 각 기능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소스트리로 어떻게 동작시키는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나의 경우 소스트리를 사용하지 않고 거의 CLI(아니면 깃크라켄)로 사용하기 때문에 소스트리 사용법은 과감하게 패스했다. 본 포스팅은 위에 말한대로 어느 정도 깃을 사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내가 모르거나 정리가 필요한 부분만 집중적으로 책의 내..

테스트를 할 때 필수적인 사항은 대량의 데이터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량의 데이터를 DB에 넣는 방법 중에 파일로 만들어서 넣는 방법이 빠르다고 해서 해보았다. 우선 CSV 파일을 만든다. 이때, 데이터는 CSV 파일에 적힌 그대로 들어가는데 VARCHAR라고 ''를 붙이게 되면 ''까지 같이 들어가게 된다. 그러니 그냥 문자열을 적는다. CSV 파일을 만들어서 서버에 옮기고 아래와 같이 실행하면 된다. load data local infile '[파일경로]' into table [insert할 테이블명] fields terminated by '[데이터 구분자. CSV의 경우 ,]' lines terminated by '\n' IGNORE 1 LINES // 첫번째 줄에는 각 컬럼명이 표시되..

요즘 한창 핫한 Chat GPT. 코드를 짜달라고 하면 짜주기도 한다는 것은 들어서 알고 있었다. 그렇지만 개인적인 용도로 한 두개의 질문을 해보았을 뿐 업무에서 사용해볼 생각은 하지 못하고 있었다. 최근 우리 팀이 진행하는 프로젝트에서 성능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는 쿼리를 맡게 되었다. 생각보다 간단하게 풀 수 있을 것 같은데, 복잡한 방법으로 짜서 쿼리를 보기만 해도 답이 없다 싶었다. 어쨌든 요번에 내가 맡게 된 이상 꼭 쿼리를 개선하고 싶어서 이래 저래 생각을 해보고 있었다. 그러다가 이걸 누군가에게 물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번뜩 Chat GPT가 생각났다. 그래서 Chat GPT에 안 되는 영어지만(영어가 좀 더 결과가 정확하다고 해서) 내가 쿼리를 짜는 대상 테이블에 어떤 정보들이 있고,..

발단 나는 회사에서 개발 외에 운영업무도 맡고 있는데, 어느날 고객사로부터 우리 서버가 메모리를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알림이 왔다고 전해들었다. 그래서 문제의 원인이 우리가 개발한 소스인지 아니면 그외의 원인이 있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서버에 접속했다. 전개 우선은 제일 먼저 한 일은 우리가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이 실제로 메모리를 과도하게 사용하고 있는지 보는 것이다. ps -ef --sort -rss 위 명령어를 사용하면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는 순으로 볼 수 있다. 또, top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shift + M을 누르면 메모리 사용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서 볼 수 있다. 주의해서 봐야할 것은 RES이다. 또,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정보를 확인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