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www.youtube.com/watch?v=5oTlFJ0llNw

 위 영상을 보면 많은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이야기하다가 CDN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stateless한 서버의 경우, 서버를 따로 빼고 CDN을 적용해놓고 Application layer에는 Storage쪽으로 가기 전에 캐시 등을 구성하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구성이 있을수도 있다고 하시는데 문득 CDN이 궁금해졌다. 위키백과에 검색해보니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라고 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Internet Service Provider)에게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콘텐츠 병목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DN의 목적은 높은 사용성과 효율로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전달함에 있다고 한다. 더 나은 퍼포먼스와 사용성 외에도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 트래픽을 덜어주어 컨텐츠 제공자의 비용을 줄여준다고 한다.

ko.wikipedia.org/wiki/%EC%BD%98%ED%85%90%EC%B8%A0_%EC%A0%84%EC%86%A1_%EB%84%A4%ED%8A%B8%EC%9B%8C%ED%81%AC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또는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CDN))는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

ko.wikipedia.org

blog.naver.com/n_cloudplatform/221918957658

 

[아키텍처 가이드]CDN과 로드밸런서를 활용한 부하 분산

​안녕하세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입니다.​앞으로 저희 블로그에서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이 제공하...

blog.naver.com

 위 링크에서 잘 설명해주고 있다. CDN 도입을 하기 전에는 static컨텐츠 요청에 대해 웹 서버에서 돌려주는데, 사용자가 몰려 요청량이 증가하게 되면 서비스 안정성이 떨어지고,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이때 CDN의 도입을 고려하게 되는데, 분산된 캐시 서버에 컨텐츠를 옮겨 두었다가 사용자가 요청하면 가장 가까운 캐시서버에서 해당 컨텐츠를 전달하는 것이다.(출처 : 위 링크)

300x250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2  (0) 2021.04.03
슬라이딩 윈도우  (0) 2021.03.24
TPS(Transaction Per Second)  (0) 2021.03.22
Gson  (0) 2021.03.18
Non-fungible token  (0) 2021.03.16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