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최근에 애드몹 설정을 한 앱을 앱스토어에 출시했다. 그 과정 중에 내가 찾아봐도 안 나왔거나 몰랐던 정보들이 있어서 이곳에 정리한다.
미리보기는 테스트 화면으로 하지 말자
앱스토어에 앱을 검색하면 나오는 앱 사용 화면이 있다. 앱을 출시하려면 이걸 준비해야 하는데, 난 잘 몰라서 플러터로 실행하면 나오는 debug 리본이 노출되고, 애드몹 테스트 광고가 노출된 화면으로 캡처를 해서 제출했다. 결과는 반려. 스크린샷은 실제 사용하는 것처럼 보여야 한다고 한다. 그래서 debug 리본도 안 보이도록 처리하고, 애드몹 광고 영역도 가리고 스크린샷을 제출해서 심사 통과했다.
애드몹 앱 등록을 위한 준비를 미리 하자
나도 그냥 앱에 애드몹 설정만 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그게 아니라 앱스토어에 등록한 이후에 한 가지 절차가 더 필요했다. 순서는 아래와 같다.
앱에 애드몹 설정 -> 앱스토어 출시 -> 앱 인증
앱 인증 단계에서는 app-ads.txt를 설정해줘야 하는데, 이때 앱스토어의 경우 marketing URL을 세팅한 채로 배포된 상태여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미리 앱 인증을 위한 절차를 하고 출시를 하자. 이 링크를 그대로 따라 하면 된다.
[구글 애드몹] app-ads.txt 설정하는 쉬운 방법
앱에 구글 애드몹으로 광고를 달려고했더니 이것저것 해야할 게 많습니다. 다 끝난 줄 알았는데 app-ads.txt 라는 걸 웹사이트에 추가하라고 하네요. (내 앱은 웹사이트가 없는데..?) 이게 뭐야.. 하
juzero-space.tistory.com
지원 URL에는 자세한 내용을 적자
지원 URL이란 사용자가 어떤 어려움을 겪으면 어디로 문의를 해야할지 알려주는 것이다. 나는 처음에 깃헙 readme파일을 사용해서 했는데 설명이 너무 부실해서 반려가 되었었다. 이후 앱 사용에 대한 궁금증에 대한 내용을 적어 통과되었다.
너무 쓸말이 없다면 아래처럼 내용을 영어로 번역해서 함께 써놓자.
앱 배포할 때 자동출시를 선택하자
앱을 배포할 때 선택하는 사항으로는 자동출시, 수동출시가 있다. 자동출시는 앱 심사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출시까지 이루어지는 것이고, 수동출시는 앱 심사가 완료된 후 개발자가 출시 버튼을 눌러야 출시로 넘어간다.
자동출시는 모르겠고, 수동출시는 출시 버튼을 눌러도 바로 앱스토어에서 확인이 불가능하다. 24시간 이내에 앱스토어에 출시된다고 하니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게 아니면 자동출시를 선택하자.
'업무 경험 및 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llation에 따라 LIKE와 '=' 검색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0) | 2023.10.17 |
---|---|
"사내서버 알고보니 코인채굴중?!"을 막기 위해 Apache Guacamole(아파치 과카몰리)를 알아보자 (0) | 2023.10.17 |
컬럼끼리 비교할 땐 서로 다른 Collation은 불가! (0) | 2023.10.13 |
커밋 안 한 작업 날렸을 때(혹은 삭제한 파일 다시 보고 싶을 때) 마지막 희망, 로컬 기록 (0) | 2023.10.13 |
HTTP 메시지 시작줄이 잘못되어 있으면 어떻게 될까? (1) | 202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