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che Manager. 캐시는 동일한 요청이 들어오면 복잡한 작업을 수행해서 결과를 만드는 대신 이미 보관된 결과를 바로 돌려주는 방식이다. 사용자가 만드는 데이터보다는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뉴스, 허브, 실시간 검색어 등)에 대부분 적용해서 사용중이다. 아래의 조건을 만족한다면 캐시 사용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다. 반복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돌려주는 작업 각 작업의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서버에 부담을 주는 경우(외부 API/DB 데이터호출 등) 출처 : https://jojoldu.tistory.com/57 SpringBoot + Ehcache 기본 예제 및 소개 팀내 신입사원들이 입사하게 되어 간단하게나마 참고할 수 있도록 Spring Cache에 대해 샘플예제와 소개를 정리하게 되었다. 아주 ..
TCP/IP에서 IP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알려주는 프로토콜. IP에는 오로지 패킷을 목적지에 도달시키기 위한 내용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목적지 호스트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IP에서 통신이 성공하고 종료되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D%B8%ED%84%B0%EB%84%B7_%EC%A0%9C%EC%96%B4_%EB%A9%94%EC%8B%9C%EC%A7%80_%ED%94%84%EB%A1%9C%ED%86%A0%EC%BD%9C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는..
dpkg 확장자는 *.deb이며 이를 패키지라고 부른다. dpkg는 하나의 패키지를 설치하기 위해 다른 패키지가 필요할 경우 해결이 까다롭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apt-get이 등장했다. apt-get 인터넷을 통하여 필요한 파일을 저장소에서 자동으로 모두 다운로드해서 설치하는 방식 dpkg명령의 패키지 의존성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 추가로, apt-cache는 패키지를 설치하기 전에 패키지에 대한 정보나 의존성 문제를 미리 확인하는 명령어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jwlee0312&logNo=221050742182&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kr%2F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서비스의 성능을 분석하고 측정하기 위한 도구이다. Sampler : 사용자의 행동 대행(Request) Listener : 처리결과에 대한 data 표시(Response) ThreadGroup : 각종 Test 진행 JMeter 안에는 여러 개의 Thread를 구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Thread당 하나의 URL을 매핑시킬 수 있다. 하나의 Thread를 하나의 ThreadGroup으로 생성하여 관리한다. Number of Threads(Users) : 동시 사용자 수 Ramp-up Period(in Seconds) : 사용자(Thread) 증가 시간, 사용자를 서서히 증가시킬 때 사용 Loop Count : 반복횟수 https://ko.vvikipedla.com/wiki..
Base64란 8비트 이진 데이터(실행 파일, ZIP 파일 등)를 문자 코드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통 ASCII영역의 문자들로만 이루어진 일련의 문자열로 바꾸는 인코딩 방식을 가리키는 개념이라고 한다. 이 인코딩은 전자 메일을 통한 이진 데이터 전송 등에 많이 쓰이고 있다고 한다. https://ko.wikipedia.org/wiki/베이스64 베이스64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컴퓨터 분야에서 쓰이는 Base 64 (베이스 육십사)란 8비트 이진 데이터(예를 들어 실행 파일이나, ZIP 파일 등)를 문자 코드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통 ASCII 영역의 ko.wikipedia.org

Cache는 나중에 요청될 결과를 미리 저장해두었다가 빠르게 서비스하는 것을 의미. 속도는 write back이 빠르지만 캐시메모리에 저장하기 때문에 장애가 생기면 데이터가 유실될 가능성이 생긴다. 로그를 DB에 저장할 때 캐시에 모았다가 특정 주기마다 DB에 저장하는데, 굉장히 많이 써야할 경우 redis같은 캐시에 넣고 특정 주기마다 DB에 저장하는 경우와 같이 write back이 쓰인다. 아니면 극단적으로 무거운 write 작업이 있을 경우. Redis는 자료구조가 Atomic하기 때문에 Race Condition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반드시는 아님). Redis는 여러 개의 서버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고 싶을 때(Remote Data Store), 인증 토큰 등을 저장(Strings 또는 h..
OSI 7계층을 기반으로 스위칭 장비를 사용. L2는 OSI 레이어 2에 속하는 MAC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스위칭하는 장비 L3는 OSI 레이어 3에 속하는 IP주소를 참조하여 스위칭하는 장비 L4는 OSI 레이어 3~4에 속하는 IP주소 및 TCP/UDP 포트 정보를 참조하여 스위칭하는 장비 L7는 OSI 레이어 3~7에 속하는 IP주소, TCP/UDP 포트정보 및 패킷 내용까지 참조하여 스위칭. 그중 L4는 레이어 4에서 패킷을 확인하고 세션을 관리하는 역할. TCP/UDP별로 패킷 정보를 분석해서 해당 패킷이 사용하는 종류별로 구분하여(HTTP, FTP, SMTP 등) 처리. 그리고 로드밸런싱을 제공한다. 로드밸런싱에 대해서는 여기를 참고할 것. 출처 : https://m.blog.naver.com..
포트번호는 16비트로 이루어져 있어서, 총 65,536개(2^16)의 포트번호가 존재할 수 있다. 0~1023번은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 1024~49151번은 등록된 포트(Registered port), 49152~65535번은 동적 포트(Dynamic Port). 포트 TCP UDP 설명 상태 20 TCP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 File Transfer Protocol) - 데이터 포트 공식 21 TCP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 File Transfer Protocol) - 제어 포트 공식 22 TCP 시큐어 셸 (SSH, Secure SHell) - ssh scp, sftp같은 프로토콜 및 포트 포워딩 공식 23 TCP 텔넷 프로토콜 (Telnet Protoco..